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문화예술축제] "무주 문화재 야행" 행사내용 및 기본정보 알아보기

반응형
SMALL

 

 

 

 

 

[소개]

_ 무주人(인)의 정신적 중심과 같은 무주 한풍루(보물)를 중심으로 지역을 대표하는 지역문화유산과 자연문화유산을 '밤(夜)'테마로 낮에는 느낄 수 없는 문화재의 가치 인식과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행사내용]

1. 야경(夜景) _ 밤에 비쳐보는 문화재

● 무주 문화관광해설사 해설 (문화재 해설)

: 낮에만 이루어지는 문화재 해설이 아니라 시원한 밤에 이색적인 환경에서 무주문화관광 해설사가 대상 문화재를 설명해 주는 프로그램

● 무주 한풍루야간개방 (문화재 야간개방) - '무주 적상산성 조선왕조실록 적상산 사고 봉안행렬' 디오라마 야간개방(야간개방)

: 무주 한풍루는 평상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화재입니다. 무주 문화재 야행 기간 많은 사람들이 한풍루의 가치를 알 수 있는 문화재 야간 개방 프로그램

*디오라마 : 배경을 그린 길고 큰 막 앞에 여러 가지 물건을 배치하고, 그것을 잘 조명하여 실물처럼 보이게 한 장치. 스튜디오 안에서 만들 수 없는 큰 장면의 촬영을 위한 세트로 쓴다*

● 무주 '적상산성 조선왕조실록 적상산 사고본 봉안행렬' 디오라마 야간개방 (야간 개방)

: 조선왕조실록 적상산 사고본 봉안행렬을 디오라마를 통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무주 적상산 사고의 가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다도체험 (체험)

: 무주 문화원 앞은 드넓은 잔디밭이 펼쳐져 있습니다. 이 잔디밭 앞에서 과거 선인들의 다도를 느낄 수 있는 다도체험을 진행합니다. (무주문화원 또는 한풍루)

● 무주 지질공원 팝업북 만들기 체험 (체험)

: 무주는 진안과 함께 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구상호강편마암과 구천동은 무주를 대표하는 지질명소입니다. 지질명소를 팝업북 만들기를 통해 알아봅니다.

● 무주큐브, 적상산 3D퍼즐 만들기 체험 (체험)

: 무주의 역사, 자연, 환경과 함께 적상산에 위치한 문화유산(안국사, 적상산 사고지유구, 적상산성 등)에 대해 팝업북과 3D퍼즐 만들기를 통해 알아보는 프로그램

● 한풍루 3D퍼즐 만들기 체험 (체험)

: 무주 한풍루는 무주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입니다. 단순한 설명보다는 교구 만들기를 통해 스토리텔링식 체험으로 한풍루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봅니다.

● 소원 등 달기 (체험)

: 코로나 19 등으로  많은 사람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무주군청 앞 소나무와 느티나무에 소원을 적어 우리의 바램을 빌어보도록 합니다.

● 무주 안성낙화놀이 (공연, 행사)

: 무주 안성낙화놀이는 무주를 대표하는 볼거리이자 무주에서만 볼 수 있는 야간 볼거리입니다. 무주 문화재 야행을 통해 낙화놀이와 무주의 무형문화유산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2. 야사(夜史) _ 밤에 듣는 역사이야기

● 청소년 스토리텔러 (문화재 해설)

: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이야기를 어른들의 시각이 아닌 청소년들의 시각으로 이해하고 스토리를 이해함으로써 지역문화유산에 대한 색다른 가치 및 경험을 제공합니다.

● 한지무드등 만들기 (체험)

: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쓰는 전기가 과거에는 어땠을까? 전기가 없는 과거 생활상에 대해 이해하고 한지를 소재로 무드등 만들기를 통해 과거 우리 조상들의 슬기로움에 대해 이해합니다.

● 화가투, 저포놀이, 용호쌍육 (청소년진행, 체험)

: 화가투(24 절기, 속담), 저포(남원 만복사지 저포이야기), 용호쌍육(조상들의 전통놀이) 놀이를 통해 각 놀이가 담긴 배경과 이야기를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전통자산에 대해 체험을 통해 이해합니다.

● 이야기꾼 공연 (공연, 행사)

: 무주 문화재 이야기, 무주의 삶 이야기, 무주의 다양한 이야기를 이야기꾼을 통해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거리 순회공연)

● 태권도 시범단공연 (태권도의 유래, 공연. 행사)

: 태권도하면 무주, 무주 하면 태권도. 이렇게 수식어가 탄생한 배경에는 무주태권도원이 있습니다. 무주와 태권도의 연관성에 대해 이해하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를 넘어 전 세계적인 자산인 태권도에 대해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 전통 놀이 등 시연 (행사)

: 무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통민속놀이 보존단체의 재연 및 공연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무주지역의 무형문화재에 인식하고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반응형

 

3. 야로(夜路) _ 역사의 마중 길

● 길거리 버스킹 공연 (공연)

: 무주지역 청년, 전라북도 청년, 인근지역의 청년 예술가들의 버스킹 공연을 통해 무료하지 않은 문화재 야행, 함께 향유하는 문화재 야행을 느껴보는 프로그램

● 남대천 등 띄우기 체험 (체험)

: 남대천은 무주를 관통하는 지역하천입니다. 이곳에서 야행 참가자들의 소망과 기원을 담은 등 띄우기 체험을 통해 문화재와 함께 하는 문화재 야행 행사의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무주 포토존 스탬프 투어 (스탬프 투어)

: 무주 문화재 야행 프로그램 운영 곳곳에 포토존 부스와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 미션 수행을 통해 스탬프를 완성한 관광객들과 지역주민들에게 상품을 제공합니다.

● 한복패션쇼 : 한복은 우리의 고유 전통의상이자 우리가 지켜야 할 자산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현재 한복을 특별한 날이 아니면 입지 않습니다. 이에 한복을 문화재 야향을 통해 접해보고 우리 한복의 우수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 고서 만들기 (조선왕조실록)

: 무주는 과거 적상산에 조선왕조실록 적상산 사고본을 보관했던 역사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아는 지역주민들과 사람들은 별로 없습니다. 이에 야로에서 이야기꾼이 들려주는 역사이야기와 실록 만들기(고서 만들기)를 통해 무주의 역사와 조선왕조실록에 대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4. 야화(夜畵) _ 별빛에 비추는 무주화

● 무주 문화관광해설사 해설 (문화재 해설)

: 평상시 우리가 알지 못했던 지역의 인물과 문화시설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무주 문화재 야행 행사가 끝난 뒤 문화유산에 방문할 수 있는 기회제공

● 아크릴 등 만들기 (최북 미술관. 김환태 문학관 체험)

: 무주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인 김환태 선생과 최북 선생에 대해 알아보고 아크릴 등으로 만들어보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나만의 책(아트북) 만들기 (체험)

: 김환태 선생은 일제강점기 순수문학을 열었던 인물입니다. 김환태 선생의 생애를 이해하고 이를 아트북 만들기를 통해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 무주 문화재 미니캔버스 채색 (체험)

: 무주지역의 문화유산을 미니캔버스를 통해 알아보자!

다양하게 구성된 무주지역의 문화유산을 캔버스 채색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무주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 컬러링북 (체험)

: 무주지역의 대표문화유산이자 보물로 지정된 안국사영산회괘불탱을 컬러링북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괘불탱이 가진 역사성과 의의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볼 수 있습니다.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안국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 1997년 8월 8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_ 지정종목 : 보물

_ 지정일 : 1997년 8월 8일

_ 소재지 : 전라북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산 18-1번지 안국사

_ 시대: 1730년대 조성

_ 종류/분류 :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_ 크기 : 높이 약 10m

 

5. 야설(夜說) _ 무주 락(樂) 풍류

● 무주 아리랑 랩소디 (공연. 행사)

: 아리랑을 즐겁게 향유할 수 있는 기회는 없을까?

무주 아리랑을 중심으로 무주지역의 문화유산인 한풍루에서 색다른 경험을 제공합니다.

● 한풍루 풍류 (국악, 오케스트라, 국악과 현대의 만남 - 무주아리랑) (공연. 행사)

: 국악, 클래식, 오케스트라, 국악과 현대의 만남 등 다양한 요소와 결합을 통해 무주 한풍루에서 다양하게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야담(夜談), 이야기꾼 (행사, 해설)

: 우리 지역의 문화유산을 색다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뭘까?

전통음악과 문화재 해설을 통해 무주 야행에 참여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무주연극인, 관외연극단체)합니다.

● 북청사자놀이 (초청공연)

: 지역주민과 무주 야행을 찾는 관람객들이 무주 문화재 야행을 통해 평상시 보지 못했던 무형유산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해 우리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삼베 짜기 재연과 체험

: 무주지역의 대표 무형유산인 적상면 치목마을 삼베 짜기 재연을 통해 우리 지역의 무형유산에 대해 이해하고 사라져 가는 문화유산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솟대 만들기 체험

: 솟대는 과거 향촌사회에서 지역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마을을 지키기 위한 수호수단으로 사용하던 마을의 상징이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이 내용을 알지 못한다. 이에 솟대 만들기를 통해 사라져 가는 향촌사회의 문화와 풍습을 이해할 수 있다.

 

6. 야숙(夜宿) _ 양사재에서 하룻밤

● 무주지역 게스트 하우스 / 숙박업체 연계 (숙박)

: 무주지역과 연계한 숙박체험과 이를 통해 지역상권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7. 야식(夜食) _ 미(味) 따라 흥(興) 따라

● 무주활동 프리마켓 판매자 (행사, 판매)

: 무주지역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농산물을 활용한 로컬푸드(잼, 음료, 간식 등) 판매를 통해 지역을 이해하고 지역주민(농가)들의 소득창출에도 기여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무주지역 향토음식 판매 (행사, 판매)

: 도리뱅뱅이 꼬치, 머루와인 아이스크림, 머루슬러시, 천마슬러시, 떡갈비 스테이크, 떡갈비 햄버거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잼 만들기, 테이크아웃 어죽 등 향토음식을 활용한 테이크아웃 음식 판매를 통해 색다른 먹거리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8. 야시(夜市) _ 무주도깨비장터

● 한마당 벼룩시장 (행사, 체험, 판매)

: 무주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들이 다른 주민들과 함께 나누고 바꿔 쓰고 판매할 수 있는 장을 마련, 함께 이야기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합니다.

● 무주 도깨비 시장 (로컬푸드, 행사. 체험. 판매)

: 행사가 추진되는 인근에는 새벽이면 시장이 들어섰다가 해가 뜨면 사라지는 도깨비시장이 있습니다. 이에 지역주민들이 생산하는 로컬농산물을 야행행사를 통해 판매하고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무주 청년기업가 한마당 (행사. 체험. 판매)

: 무주 지역에서 사업을 영위하거나 무주지역에서 거주하고 있는 청년기업가나 청년사업가들을 위해 부스를 마련 지역주민들에게 홍보할 수 있는 기회제공

● 무주 자원봉사 한마당 (체험, 무료재능 나눔, 문화재 연계체험) - 무주관내기관 부스연합

: 무주자원봉사센터의 전문봉사자들과 함께 나눔의 가치와 다양한 문화재를 활용한 체험을 통해 무주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제공

 

 

[기본정보]

_ 기    간 : 2023. 06. 23.(금) ~ 2023. 06. 24.(토)

_ 시    간 : 18 : 00 ~ 22 : 00

_ 장    소 : 무주문화원

_ 주최/주관 : 무주문화원 / 문화재청, 전라북도, 무주군

_ 요    금 : 유료 / 무료(일부체험 유료)

_ 주    소 : 전라북도 무주군 최북로 15 최북미술관, 김환태문학관

_ 연락처 : 063 - 324 - 1300

_ 홈페이지 : 홈페이지

 

 

 


_ 오늘은 전라북도 무주의 밤을 테마로 낮에는 느낄 수 없는 문화재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야경', '야샤', '야로', '야화', '야설' 등을 알아보며 무주의 옛 과거로의 여행으로 풍덩 빠져보고 싶다면 무주의 밤으로 놀러 오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LIST